- 1. 김치전/부침개, 왜 바삭하지 않고 질척할까?
- 1.1 물을 너무 많이 넣었을 때!
- 1.2 밀가루만 썼을 때!
- 1.3 약불에 오래 구웠을 때!
- 2. 부침개, 바삭하게 만드는 꿀팁!
- 2.1 반죽에 전분을 섞어라!
- 2.2 물 대신 탄산수 써보기!
- 2.3 센 불 + 넉넉한 기름이 핵심!
- 3. 바삭해지는 원리, 알아두면 실패 없다!
- 3.1 전분의 역할!
- 3.2 수분 증발이 승부처!
- 4. 부침개가 질척할 때 해결 팁!
- 4.1 부침가루 or 전분 추가하기!
- 4.2 한 번 부쳐낸 걸 다시 오븐이나 에어프라이어로!
- 5. 부침개에 넣으면 좋은 재료 vs 피해야 할 재료!
- 5.1 바삭함 살려주는 재료들!
- 5.2 질척하게 만드는 재료들!
- 6. 마무리: 부침개는 온도와 물 조절이 생명!
김치전/부침개, 왜 바삭하지 않고 질척할까?
1.1 물을 너무 많이 넣었을 때!
반죽이 묽으면 팬에 부었을 때 기름보다 물이 먼저 퍼짐. 이러면 바삭은커녕 푹신+질척 모드 직행임. 바삭하게 하려면 물은 딱 반죽이 주르륵 흐를 정도까지만!
1.2 밀가루만 썼을 때!
밀가루는 글루텐이 생기기 때문에 오래 치대거나, 너무 많이 쓰면 쫀득+질척해짐. 바삭하게 하려면 반드시 '전분'이나 부침가루처럼 바삭한 식감을 살려주는 재료를 같이 써야 함!
1.3 약불에 오래 구웠을 때!
약불로 오래 구우면 수분이 빠지기 전에 재료가 익어버림. 그러면 겉은 질척, 속도 덜 바삭. 처음부터 센 불로 확 구워서 바닥을 바삭하게 만들어야 함!
부침개, 바삭하게 만드는 꿀팁!
2.1 반죽에 전분을 섞어라!
감자전분, 옥수수전분, 찹쌀가루 중 하나라도 섞으면 바삭한 식감이 훨씬 잘 나옴. 특히 김치전엔 감자전분 한 스푼만 넣어도 확실히 다름!
2.2 물 대신 탄산수 써보기!
탄산수는 기포가 생기면서 부침개를 더 가볍고 바삭하게 만들어줌. 팬케이크에도 쓰는 방법인데, 김치전에도 진짜 잘 어울림!
2.3 센 불 + 넉넉한 기름이 핵심!
기름 아끼면 안 됨! 바삭한 부침개의 핵심은 튀기듯 굽는 거니까 팬 바닥에 기름이 코팅될 정도로 넉넉하게 두르고 센 불에서 바닥 익힌 후 불 줄이기!
바삭해지는 원리, 알아두면 실패 없다!
3.1 전분의 역할!
전분은 가열되면 겉면이 빠르게 수분을 날리면서 '얇고 단단한' 껍질을 만듦. 이게 바삭함의 핵심임. 밀가루보다 전분이 더 빠르게 반응해서 겉을 크리스피하게 만들어줌!
3.2 수분 증발이 승부처!
수분이 남아 있으면 절대 바삭할 수 없음. 팬이 뜨겁고 기름도 충분해야 수분이 즉각 증발하면서 '튀기듯' 익는 구조가 생김. 그래서 중약불은 오히려 실패 포인트!
부침개가 질척할 때 해결 팁!
4.1 부침가루 or 전분 추가하기!
이미 반죽이 너무 묽어졌다면? 감자전분이나 부침가루를 조금 더 넣어서 농도를 조절해줘야 함. 너무 되직해져도 안 되니, 주르륵 흐르되 '뭉개지지 않을 정도'로!
4.2 한 번 부쳐낸 걸 다시 오븐이나 에어프라이어로!
이미 부쳤는데도 바삭하지 않다? 에어프라이어나 오븐에 살짝 다시 구워줘. 바닥이 다시 수분 날아가면서 바삭하게 살아날 수 있음!
부침개에 넣으면 좋은 재료 vs 피해야 할 재료!
5.1 바삭함 살려주는 재료들!
- 김치: 신김치 쓸수록 바삭한 맛과 감칠맛 업!
- 부추, 대파: 수분 적고 향긋해서 바삭함 유지에 도움됨.
- 오징어, 새우: 단백질 재료는 겉면이 마르면서 식감을 살려줌!
5.2 질척하게 만드는 재료들!
- 양파: 향은 좋은데 수분이 많아서 너무 많이 넣으면 눅눅해짐!
- 애호박: 수분 폭탄이라 꼭 소금에 절여 물기 짜고 써야 함.
- 두부: 질감 부드럽게는 해주지만 바삭함에는 안 어울림. 꼭 수분 제거 필요!
마무리: 부침개는 온도와 물 조절이 생명!
부침개, 김치전은 재료보다 '불과 반죽의 싸움'임. 전분 섞고, 물 조절하고, 센 불에서 기름 넉넉히 쓰는 것만으로도 바삭함은 확 달라짐! 자기야 오늘은 눅눅 부침개 말고, 바삭바삭 감탄 나오는 김치전 도전 어떰?